맨위로가기

리듬 세상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리듬 세상은 닌텐도 DS용 리듬 게임으로, 터치스크린을 활용한 간단한 조작으로 다양한 미니 게임을 즐길 수 있다. 각 미니 게임은 고유의 리듬 패턴을 가지며, 플레이어는 터치, 튕기기, 문지르기 등의 조작을 통해 리듬에 맞춰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은 스테이지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스테이지는 여러 개의 미니 게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스테이지를 클리어하면 다음 스테이지로 진행할 수 있으며, '하이 레벨' 평가를 받으면 메달을 획득하여 보너스 콘텐츠를 해금할 수 있다. 이 게임은 층쿠♂가 제작에 참여했으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300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리듬 세상 - 리듬 세상 더 베스트 플러스
    리듬 세상 더 베스트 플러스는 닌텐도 3DS용 리듬 게임으로, 단순 조작과 중독성 있는 플레이를 계승하며 100개 이상의 게임, 스토리 모드, 챌린지 트레인 등 다양한 모드를 제공하고 층쿠♂를 비롯한 여러 아티스트가 참여했다.
  • 리듬 세상 - 리듬 세상 Wii
    리듬 세상 Wii는 닌텐도가 발매한 Wii용 리듬 게임으로, Wii 리모컨의 A, B 버튼을 사용하여 화면의 지시에 맞춰 리듬에 맞춰 플레이하며, 다양한 미니 게임과 2인용 협력 플레이 모드, 층쿠♂가 작곡한 음악과 독특한 게임 디자인으로 호평을 받았다.
  • 닌텐도 개발 제일부 게임 - 메트로이드: 제로 미션
    메트로이드: 제로 미션은 2004년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출시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1986년 NES로 출시된 메트로이드의 리메이크작이며, 사무스 아란을 조작하여 행성 제베스를 탐험하며 우주 해적을 물리치는 내용을 담고 있다.
  • 닌텐도 개발 제일부 게임 - 메트로이드 퓨전
    메트로이드 퓨전은 2002년 닌텐도가 게임보이 어드밴스로 발매한 액션 어드벤처 게임으로, 기생 생물체 X에 감염된 현상금 사냥꾼 사무스 아란이 은하 연방의 우주 스테이션에서 탐험, 퍼즐 풀기, 전투, 파워 업 획득을 통해 사건을 해결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이전 작품들과 비교하여 스토리에 집중된 선형적인 진행을 특징으로 한다.
  • 닌텐도 DS 전용 게임 -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
    포켓몬스터DP 디아루가·펄기아는 2006년 닌텐도 DS로 출시된 롤플레잉 비디오 게임으로, 신오지방을 탐험하며 포켓몬을 포획하고 훈련시켜 다른 트레이너와 배틀을 벌이는 턴제 방식의 어드벤처 게임이다.
  • 닌텐도 DS 전용 게임 - 로자리오와 뱀파이어
    로자리오와 뱀파이어는 이케다 아키히사가 그린 만화 시리즈로, 인간 소년이 요괴 고등학교에 입학하여 뱀파이어 소녀를 포함한 다양한 요괴들과 겪는 이야기를 다루며, 만화, 애니메이션 등으로 제작되어 인기를 얻었다.
리듬 세상 - [IT 관련 정보]에 관한 문서
개요
북미 게임 커버
북미 게임 커버
제목리듬 천국
원제リズム天国ゴールド (Rizumu Tengoku Gōrudo)
다른 제목Rhythm Heaven (리듬 헤븐)
시리즈리듬 천국
플랫폼닌텐도 DS
장르리듬
모드일인용
개발
개발사닌텐도 SPD
추가 개발TNX 뮤직 레코딩스
제작
배급사닌텐도
디렉터오사와 카즈요시
프로듀서츤쿠
디자이너오사와 카즈요시
타케우치 코
요네 마사미
마사오카 타카후미
세키 쿄헤이
프로그래머오사와 카즈요시
마사오카 타카후미
아티스트타케우치 코
작곡가츤쿠
요네 마사미
출시
일본2008년 7월 31일
북미2009년 4월 5일
유럽2009년 5월 1일
호주2009년 6월 4일
대한민국2009년 9월 24일
기타 정보
CEROA
ESRBE
판매량세계: 304만 본 (2022년 말 기준)
일본: 197만 본 (2022년 말 기준)

2. 게임플레이

닌텐도 DS를 세로로 잡고 터치스크린을 주된 입력 방식으로 사용하여 게임을 진행한다. 플레이어는 터치, 튕기기, 문지르기 등 다양한 조작을 통해 리듬에 맞춰 미니 게임을 진행한다. 〈로커 2〉와 같은 일부 미니 게임에서는 R/L 버튼을 사용하기도 한다.[33] 각 미니 게임은 고유의 규칙과 리듬 패턴을 가지고 있으며, 플레이어는 이에 맞춰 정확한 조작을 해야 한다. 게임의 난이도는 점차 증가하며, 후반부에는 높은 수준의 리듬 감각과 순발력을 요구하는 미니 게임들이 등장한다.


  • 가볍게 터치: 짧은 시간 동안 터치한다. 〈수행자〉가 대표적인 예이다.
  • 튕기기: 터치한 상태에서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튕긴다. 〈부품 조립〉이 대표적인 예이다.
  • 붙잡기: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로봇 공장〉이 대표적인 예이다.
  • 문지르기: 터치한 상태에서 문지른다. 〈사랑의 도마뱀〉이 대표적인 예이다.
  • 들기: 터치한 상태로 있다가 적당한 때에 손을 들어 올린다. 〈코러스맨〉이 대표적인 예이다.
  • 똑 터치하기: 터치하자마자 손을 바로 들어올린다. 〈모아이송〉이 대표적인 예이다.
  • 붙잡았다가 튕기기: 터치한 상태로 있다가 적당한 때에 튕긴다. 〈리듬 랠리〉가 대표적인 예이다.
  • 눌렀다가 바로 튕기기: 적당한 때에 터치해서 바로 떼었다가 약하게 튕긴다. 〈쿵쿵 농장〉이 대표적인 예이다.


게임 도중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게임이 일시 정지되며, 스타트 버튼, 셀렉트 버튼, L 버튼, R 버튼을 동시에 누를 경우 타이틀 화면으로 돌아간다.

2. 1. 조작 방법

리듬 세상》은 일반적인 닌텐도 DS 작품들과는 다르게, 가로가 아닌 세로로 잡고 조작한다.[33] 타이틀 화면에서 오른손 사용자와 왼손 사용자는 자신이 편한 손에 맞도록 조절할 수 있다. 조작은 대부분 터치 스크린을 사용하며, 로커2의 경우 터치 스크린과 R 버튼을 같이 사용해야 한다.[33]

  • 가볍게 터치: 짧은 시간 동안 터치한다. 〈수행자〉가 대표적인 예이다.
  • 튕기기: 터치한 상태에서 손목의 스냅을 이용하여 튕긴다. 〈부품 조립〉이 대표적인 예이다.
  • 붙잡기: 터치한 상태에서 일정 시간 동안 터치한 상태를 유지한다. 〈로봇 공장〉이 대표적인 예이다.
  • 문지르기: 터치한 상태에서 문지른다. 〈사랑의 도마뱀〉이 대표적인 예이다.
  • 들기: 터치한 상태로 있다가 적당한 때에 손을 들어 올린다. 〈코러스맨〉이 대표적인 예이다.
  • 똑 터치하기: 터치하자마자 손을 바로 들어올린다. 〈모아이송〉이 대표적인 예이다.
  • 붙잡았다가 튕기기: 터치한 상태로 있다가 적당한 때에 튕긴다. 〈리듬 랠리〉가 대표적인 예이다.
  • 눌렀다가 바로 튕기기: 적당한 때에 터치해서 바로 떼었다가 약하게 튕긴다. 〈쿵쿵 농장〉이 대표적인 예이다.


게임 도중 스타트 버튼을 누르면 게임이 일시 정지되며, 스타트 버튼, 셀렉트 버튼, L 버튼, R 버튼을 동시에 누를 경우 타이틀 화면으로 돌아간다.

3. 스테이지

이 작품에는 10개의 스테이지 묶음이 존재하며, 한 묶음에는 다섯 개의 스테이지가 존재한다. 4개는 오리지널 스테이지이며, 1개는 이전 4개의 스테이지를 무작위 순서로 리믹스한 스테이지이다. 스테이지 1부터 6까지는 오리지널이며, 7부터 10까지는 1부터 6까지 등장하였던 게임들의 난이도가 높은 버전이 등장한다. 7부터 10까지의 리믹스는 이전의 모든 게임들이 무작위로 섞여 나온다(메달 게임 제외).

플레이어는 각 리듬 게임에서 리듬을 유지해야 하며, 게임 후 결과에 따라 '다시 하기', '평범', '하이 레벨' 중 하나의 평가를 받는다. '평범' 이상을 받으면 다음 스테이지로 진행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을 받으면 메달을 획득하며, 이 메달을 모아 보너스 콘텐츠를 해금할 수 있다. '하이 레벨'을 받은 미니 게임은 가끔 "퍼펙트 캠페인" 대상으로 선정되어, 한 번도 실수 없이 클리어하면 추가 보상을 받을 수 있다.
스테이지 1리듬을 타면서 부품을 조립한다. "도 레 미 파 솔"의 "솔"에서 기계를 튕겨 부품을 조립을 한다. 보통은 "도레미파솔"의 "솔" 타이밍에 맞춰 두드리지만, "솔라시도레", "라시도레미"처럼 다른 음계가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섯 번째 음에 맞춰야 한다. 또한, 도중에 부품 이외의 화면이 어두워져 소리만 듣고 맞춰야 한다.

3명으로 이루어진 코러스 그룹의 세 번째 멤버로 참가한다. 터치스크린을 누르면 입을 닫고, 떼면 노래를 부른다. 튕기면 크게 노래를 부른다. 플레이어는 세 번째 코러스 맨이 되어, 다른 두 명에 맞춰 합창한다. 화면을 터치하지 않는 한 계속 소리를 낸다. 도중에 "아, 다 함께"라는 소리가 들리면, 두드리는 동작이 필요하다. 또한, 앞의 두 명이 소리를 내고 있을 때는 일제히 입을 다물게 해야 한다. 지휘자 같은 리더는 전작에 등장한 "짝짝짝 삼인조"의 멤버이다.

로봇 공장의 마지막 공정인 연료 주입을 하는 일이다. 터치하면 연료를 주입하며, 적절한 시간에 떼면 연료 주입을 끝낼 수 있다. 4박자와 8박자를 잘 맞춰야한다.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흘러오는 로봇에게 에너지를 주입한다. 터치한 길이에 따라 주입량이 결정되며, 너무 많이 넣으면 폭발한다. 도중에 뒷박으로 주입하게 된다.

표준 사이즈의 "로봇 엠", 대형 사이즈의 "로봇 엘"의 두 종류가 있으며, 로봇 엘은 로봇 엠의 2배의 연료를 주입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다른 로봇이 자신보다 더 많은 연료를 주입받으면 질투하는 AI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몇 프레임의 오차도 없이 주입을 완료하면 기뻐하며 비행한다.

아이돌 가수의 팬인 원숭이가 되어, 일정한 패턴으로 박수를 치거나 함성을 지른다. 이 게임에 나온 노래는 실제 노래로 공연되기도 했다. 플레이어는 아이돌 팬인 원숭이가 되어, 아이돌의 노래에 맞춰 다른 팬들과 똑같은 동작(손뼉 치기, 점프)을 한다. 곡은 '''"두근! 이런 게 사랑이야?"'''. 노래하는 것은, 전 캐나아리 클럽의 에리~나/エリーナ일본어, 하시구치 에리나. 또한, 『리듬 세상 더 베스트 +』에서는, 백스테이지 외신다 1초메의 아리~사/アリーサ일본어, 하리오 아리사/針尾ありさ일본어가 노래하고 있다.

첫 번째 리믹스. 이번 작품의 리믹스는 전작보다 판정이 약간 더 엄격하다. 또한 이 리믹스만 어떤 어레인지인지 설명되지 않는다.
스테이지 2


  • 스테이지 2-1 리듬 랠리는 곡에 맞춰 탁구를 한다. 신호가 오면 1 랠리 분량의 템포가 빨라진다. 리듬 천국 더 베스트 플러스에서는 "돌아온 핑퐁"으로 등장한다. 등장 캐릭터는 "핑퐁맨"이다. 덤 요소는 "핑퐁의 곡"이다. 전작의 등장 캐릭터 "스페이스 댄서즈"와 동일 인종임을 나타내는 내용이 게임 중에 기술되어 있다.

  • 스테이지 2-2 슈팅은 화면 위에서 나타나는 적을 나타나는 타이밍과 같은 타이밍에 격추시킨다. 리듬 천국 더 베스트 플러스에서는 "돌아온 슈팅"으로 등장한다. 등장 캐릭터는 "코스모 어태커즈"이다. 덤 요소는 "슈팅의 곡"이다. 오퍼레이터의 여자는 남자 친구를 구하고 있다고 한다.

  • 스테이지 2-3 블루 버즈는 플레이어는 세 번째 새가 되어 화면에 있는 대장의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등장 캐릭터는 "블루 버즈"이다. 덤 요소는 "읽을거리: 대원 일지"이다. 새들 사이에서도 동경의 대상이 되는 군대 같은 조직이다. 입대한 그들은 혹독한 훈련을 거듭하지만, 다리 강화만 하고 스스로 하늘을 나는 일은 없다는 것에 의문을 품는 대원들도 있는 듯하다.

  • 스테이지 2-4 모아이 송은 플레이어는 모아이 석상이 되어 상대의 구절을 흉내낸다. 등장 캐릭터는 "모아이코", "모아이오"이다. 덤 요소는 "읽을거리: 모아이어 강좌"이다. 상대의 구절을 흉내낸다는 것은 상대의 말에 동의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것 같다. 조금이라도 틀리면 부정적인 대답을 한 것이 되어 관계에 금이 갈 수도 있다고 한다. 또 리듬을 타지 못하면, 흥겨운 갈매기에게 똥을 맞는다.

  • 스테이지 2-5 2nd 리믹스는 남국풍의 BGM에 맞춰 스테이지 2의 게임을 모아서 진행한다. 이번 작품 중 리믹스에서 가장 짧다. 등장 캐릭터는 "스테이지 2의 등장 캐릭터 전원"이다. 덤 요소는 "읽을거리: 프로필 1"이다.

스테이지 3

  • 스테이지 3-1 〈사랑의 도마뱀〉은 문지르기를 사용한다. 레코레코도마뱀의 암컷이 되어 수컷의 구애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을 슬라이드하면 암컷의 혀로 박자를 맞출 수 있다. 판정이 까다로워 잘해도 수컷이 "에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플레이어는 암컷 기로토카게 "기로짱"(노란색 도마뱀)이 되어 수컷(녹색 도마뱀)의 꼬리를 옆으로 흔드는 구애 행동에 맞춰 동시에 행동해야 한다. 터치한 채 터치 패널을 문질러 소리를 낸다(튕길 필요는 없다). 카니발 시기가 되면 번식기를 맞아 축제 분위기 속에서 짝을 짓는다는 가벼운 동물의 특징을 보인다.

  • 스테이지 3-2 〈쿵쿵 농장〉은 튕기기를 사용한다. 터치하여 땅을 울려 야채를 솟아오르게 한 다음, 튕겨서 야채를 광주리에 담는다. 가끔 등장하는 두더지는 반 박자 빨리 튕겨서 제거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농부가 되어 밭에 묻힌 채소나 두더지를 뽑아낸다. 두더지는 약간 튕기는 타이밍이 빠르다. 묻혀 있는 채소는 전작에 등장했던 "헤어 베지터보즈"이다.

  • 스테이지 3-3 〈카메라맨〉은 터치를 사용한다. 자동차 경주장에서 자동차를 촬영하는 카메라맨으로 활동하며, 자동차가 지나가는 리듬에 맞추어 터치하여 사진을 찍는다. 노란색 차는 3개가 나타나면 연속 3번 터치하고, 2개가 나타나면 반 박자 느리게 연속 2번 터치해야 한다. 당근 차는 빠른 속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사진에 차를 타고 있는 레이서가 카메라맨을 보고 "브이"를 표현할 때도 있다. 가끔 카메라에 찍히는 것은 "닌자", "살금살금 랫", "하얀 유령", "랩맨", "DJ SALU", "원숭이", "파치파치 삼인방"으로 전작에 등장했던 캐릭터가 다수 등장한다.

  • 스테이지 3-4 〈샤랄라 6공주〉는 튕기기를 사용한다. 화면은 6개의 박스로 구성되며, 각 박스에 멤버가 한 명씩 들어가고,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것은 오른쪽 맨 아래쪽에 위치한 멤버이다. 터치하면 웅크리는 자세를 취하며, 튕기면 다른 자세를 취한다. 다른 멤버들의 리듬에 맞추어 안무를 소화해야 한다. 플레이어가 미스를 하면 다른 멤버들에게 눈총을 받는다. 어중간한 타이밍에 일어나면 멤버들이 넘어지고 부끄러워한다. 이 스테이지를 퍼펙트하면 샤랄라 6공주 노래를 받을 수 있다. 노래하는 곡은 THE 폿시보가 부르는 '''"사랑의 RungRung 파라다이스"'''이다. 게임 속 캐릭터의 모델은 본인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단, "더 베스트 +"에서는 THE 폿시보 멤버가 모델로 되어 있다).

  • 스테이지 3-5 〈리믹스 3〉은 스테이지 3에 등장했던 게임이 등장한다. 일본 트로트풍이다. 엔카풍 블루스에 맞춰 스테이지 3의 게임을 모아서 진행한다. 리믹스 10 다음으로 긴 리믹스.

스테이지 4

  • 스테이지 4-1 〈수행자〉[34] 찐빵을 먹는 수행을 한다. 리듬에 맞추어 터치하면 찐빵을 먹는다. "하나"라고 하면, "나"에만 터치를 한다. "이얼싼쓰" 라고 하면, "얼싼쓰" 에만 터치를 한다. "둘 고고!" 라고 하면 "고고!" 에서만 터치를 한다. 상대의 구령에 맞춰 만두를 먹는다. "이, 아, 싼, 쑤"의 구령일 때는 3개 연속으로 먹고, "요요토토"의 구령은 "토토"에 맞춰 2개 연속으로 먹는다. 타이밍에 맞춰 먹으면 수염이 난다.

  • 스테이지 4-2 〈DJ 스쿨〉[34] 리듬에 맞추어 패드를 스크랏 쵸한다. 터치하면 자세를 취하며, 그 상태에서 튕기면 스크랏 쵸한다. 맨 처음에 "브리킹 컴온 우!"하면 "우!"에 자세를 취한다. 옐로가 "스크랏 쵸!"하면 한 박자 쉬고 튕긴다. 플레이어는 학생(파랑)이 되어, 선생님(노랑)의 지시에 따라 스크래치를 한다.

  • 스테이지 4-3 〈응원단[34] 북을 두드린다. 상대편이 먼저 북을 두드리면 그 리듬의 패턴과 동일하게 두드린다. 마지막 부근에 빠른 속도를 주의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파란 팀의 응원단이 되어, 빨간 팀의 북과 같은 구절을 두드린다. 후반에는 얼굴이 빨개지며 속도가 빨라진다.

  • 스테이지 4-4 〈두근두근 실험실〉[34] 음악에 맞추어 하트를 만드는 실험을 한다. 선배가 주는 통을 터치하여 선배와 같은 하트 개수대로 슬라이드를 해야한다. 그리고 튕기기를 해 옆에 있는 다람쥐에게 준다. 플레이어는 가운데의 여성 연구원이 되어, 옆의 남성 연구원으로부터 던져진 플라스크를 흔들거나 옆으로 던진다.

  • 스테이지 4-5 〈리믹스 4〉[34] 스테이지 4에 등장했던 게임이 등장한다. 주제는 사랑. 팝 음악풍의 BGM에 맞춰 스테이지 4의 게임을 묶어 진행한다.

스테이지 5

  • 스테이지 5-1 수중 발레는 터치하면 잠수하며, 떼면 물 밖으로 나온다. 튕기면 돌고래를 타고 점프한다. 동료의 리듬에 잘 맞추어 플레이한다. "싱크로"에서는 플레이어는 세 번째 소녀가 되어 다른 두 명과 같은 타이밍에 물에 잠수하거나 점프한다. 등장 캐릭터는 "싱크로 삼자매" 이다. 참고로, 리믹스 5, 리믹스 9에서는 삼형제가 된다.

  • 스테이지 5-2 미니 라이브는 유령들이 라이브 콘서트를 한다. 튕기고 붙잡는 동작으로 기타를 연주하는데, 동료의 리듬과 같은 리듬으로 연주한다. 같은 패턴을 8번 연주하게 되는데, 각 패턴마다 연주해야 하는 속도가 다르다.(처음과 마지막은 고정되어 있다) "숏 라이브"에서는 플레이어는 하얀 유령이 되어, 녹색 유령과 함께 엔딩 구절의 기타를 연주한다. 템포가 다른 곡이 총 8곡 (약 1분 반) 있다. 첫 곡과 마지막 곡은 항상 같지만, 그 외 곡의 순서는 랜덤이다. 등장 캐릭터는 "스몰 고스터즈"이다. 참고로, 라이브는 A 씨의 집 테이블 위를 마음대로 점거하고 있다고 한다. 덧붙여서 티켓은 예매도 당일도 3800엔이다.

  • 스테이지 5-3 견공 닌자는 리듬에 맞추어 날아오는 야채 등을 자른다. "개 닌자"에서는 날아오는 채소를 타이밍 좋게 자른다. 때때로 타이어나 프라이팬이 날아오는 경우가 있지만, 상관없이 잘라야 한다. 등장 캐릭터는 "개 닌자"이다.

  • 스테이지 5-4 개굴개굴 댄스는 개구리들이 펼치는 무대이다. 앞에 위치한 여성 리더가 하는 동작을 잘 보거나 소리를 듣고 따라한다. "케로케로 댄스"에서는 플레이어는 백댄서 개구리가 되어, 빨간 개구리의 지시에 맞춰 다양한 동작을 한다. 또한, 지시가 없을 때는 항상 박자에 맞춰야 한다. 등장 캐릭터는 "케로케로 합창단"이다. 보컬의 파란 개구리는 게임을 처음 시작했을 때 인트로덕션 화면에서 처음 등장한다. 부르고 있는 곡은 웃치야마(층쿠♂)가 부르는 '''"밝은 로큰롤"'''이다.

  • 스테이지 5-5 리믹스 5는 스테이지 5에 등장했던 게임이 등장한다. 주제는 공연이다. "5th 리믹스"는 록적인 BGM에 맞춰 스테이지 5의 게임을 모아서 진행한다. 등장 캐릭터는 "스테이지 5의 등장 캐릭터 전원 (단, 싱크로 삼자매가 삼형제가 된다)"

스테이지 6

  • 스테이지 6-1 〈스페이스 사커〉 우주에서 축구공으로 리프팅을 한다. 튕기면 발로 강하게 리프팅한다. 「리프팅」 플레이어는 가장 앞에 있는 캐릭터가 되어 리프팅을 계속한다. 가끔 하이킥을 할 때가 있다. 등장 캐릭터 「리프팅맨」 보너스 요소 「리프팅의 곡」 리프팅맨은 하나의 팀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러 리프팅맨이 존재한다.

  • 스테이지 6-2 〈그림자 스텝〉 박자에 맞추어 터치한다. 구호에 맞춰 정박과 엇박을 바꾼다. 「앞뒷면」★ 보통 박자와 뒷 박자를 번갈아 가며 춤을 춘다. 처음에는 앞 박자지만 「하-이」라는 신호로 뒷 박자가 되고, 「음・하, 음・하」라는 구령으로 앞 박자로 돌아간다. 등장 캐릭터 「앞뒷면 사람」 보너스 요소 「앞뒷면의 곡」 멀리서 보면, 바로크 시대의 음악가 같은 모자이크 아트가 나타난다.

  • 스테이지 6-3 〈로커〉 로커 선생님과 함께 기타를 연주한다. 튕기면 연주하며, 다시 터치하면 뮤트한다. 합격 이상으로 깨면 메달 모음집에서 기타 베이직 레슨을 받을 수 있다. 플레이어는 로커의 제자가 되어, 로커의 연주에 맞추거나 동시에 연주한다. 등장 캐릭터 「로커」 보너스 요소 「로커의 곡」 기타 레슨에서도 그들이 등장한다.

  • 스테이지 6-4 〈격투가〉 리듬에 맞추어 날아오는 물건을 주먹으로 부순다. 전구가 나온 다음에 나오는 나무통은 터치하여 부수면 폭탄이 나오는데, 튕기면 킥을 하여 날려 보낸다. 「가라테가」☆ 전작의 가라테가와 같지만, 새롭게 발차기 동작이 추가되었다. 전구 뒤에 통이 날아오므로, 「펀치 킥」의 「파」에서 통을 부수고 「키」에서 폭탄을 걷어차야 하지만, 전구 없이 통이 날아오는 경우도 있다. 『리듬 세상 더 베스트 플러스』에서는, 「가라테가 킥」으로 등장하고 있다. 등장 캐릭터 「가라테가」 보너스 요소 「가라테가의 노래: Rainy ~비에 젖어~」 곡은 캐나아리 클럽이 부르는 '''「Rainy ~비에 젖어~」'''。 또한, 처음 펀치 킥의 폭탄을 놓치면 「평범」 확정. 그리고, 마지막 화분을 놓치면, 여지없이 「다시 하기」가 된다.

  • 스테이지 6-5 〈리믹스 6〉 스테이지 6에 등장하였던 게임이 등장한다. 주제는 우주. 「6th 리믹스」 우주풍의 BGM에 맞춰 스테이지 6의 게임을 묶어서 진행한다. 「리프팅」에서 「앞뒷면」으로의 전환이 어렵다. 등장 캐릭터 「스테이지 6의 등장 캐릭터 전부」 보너스 요소 「읽을 거리: 가사 카드 4」 이 게임을 클리어하면, 스태프 롤과, 캐스트 소개가 나온다.

스테이지 7

  • 스테이지 7-1 〈부품 조립 2〉는 '도 레 미 파 솔'의 '솔'에서 튕기는 것은 부품 조립과 같지만, 그 후에 빠른 속도로 '도레미파솔' 소리가 들린다. 부품도 빠르게 온다.[35] 스테이지 1-1의 난이도 상승판으로, 기존의 부품에 더해 고속으로 흘러오는 부품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리듬과는 다른 리듬으로 흘러오는 부품도 있으며, 2개의 부품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판정이 "다시"가 될 수 있다.

  • 스테이지 7-2 〈샤랄라 6공주 2〉는 상자 밑에 꽃이 있고 별 대신 양이 나온다. 전작"리듬 천국"의 "나이트 워크"에 나오는 "플레이얀 군"이라는 캐릭터도 나온다. 스테이지 3-4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요들풍의 어레인지가 더해져 댄스 패턴이 더욱 늘어났다.

  • 스테이지 7-3 〈개굴개굴 댄스 2〉는 개굴개굴 합창단이 모자를 쓰고 춤을 춘다. 보컬이 색소폰을 분다. 스테이지 5-4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인스트 어레인지되어 약간 템포가 빨라졌다. 『리듬 세상 더 베스트 +』에서는 "개굴개굴 나이트"로 등장한다.

  • 스테이지 7-4 〈팬클럽 2〉는 무대가 바뀌고 스타가 된 아이돌이 노래를 부르는데 박수를 친다. 새로운 패턴이 나오고 게임 시간이 실제 아이돌이 노래를 불렀던 시간이랑 똑같다. 여기 나오는 원숭이는 전작"리듬 천국"의"쇼 타임"에 나오는 망치로 스프링을 쳐서 펭귄들에게 공을 던져 주었던 원숭이이다. 스테이지 1-4의 난이도 상승판으로, 추임새가 3종류로 늘어나고, 곡은 2절까지 부르게 된다. 곡이 종료된 후, 원숭이들이 리듬과 상관없이 박수를 치는 장면이 있는데, 이때 박수를 치지 않거나, 다른 원숭이보다 먼저 박수를 치면 옆의 원숭이에게 노려지게 된다.

  • 스테이지 7-5 〈리믹스 7〉은 시원한 구름과 함께 다른 것도 나오는 "미니 라이브"의 처음 곡의 원곡을 들으며 리믹스를 즐길 수 있다. 기존 게임과 DJ스쿨, 미니 라이브가 나온다. BGM은 "숏 라이브"의 첫 번째 곡 롱 버전. 여기부터 리믹스에 나오는 게임이 뒤섞이지만, '''해당 스테이지에 나왔던 게임은 반드시 한 번은 등장한다''' (단, 스테이지 7에서는 유일하게 "조립"은 여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스테이지 8

  • 스테이지 8-1 리듬 랠리 2 기존의 리듬 랠리보다 플레이 시간이 길며, 시점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헷갈리고, 속도도 빠르며, 연속으로 빠른 비트가 나오기도 한다.

  • 스테이지 8-2 로봇 공장 2 기존의 로봇 공장보다 플레이 시간이 길며, 배경 음악의 방해가 더욱 어려워졌고, 반박자 로봇이 나온다. 정전이 되어 불이 꺼져서 멜로디와 로봇의 눈만 보면서 해야 할 때도 있다.

  • 스테이지 8-3 블루버드 특공대 2 기존보다 시간이 길며, 터치 비트와 튕기는 비트가 겹쳐 연속 비트를 이루기도 한다. 혹독한 블루버드 특공대의 겨울 훈련 이야기를 들려준다.

  • 스테이지 8-4 그림자 스텝 2 박자가 약간 느려지고 엇박자의 리듬이 바뀌었다. 색이 바뀌었고 그림의 아저씨도 머리에 별이 박혀있다.

  • 스테이지 8-5 리믹스 8 리믹스 8의 대표적인 게임은 리듬 랠리 2이며, 견공닌자, 응원단, 카메라맨, 수행자, 블루버드 특공대, 그림자 스텝이 섞였다. 주제는 번개로, 리듬세상 게임 중에 가장 빠르다고 느낄 만한 스테이지이다.

스테이지 9

  • 스테이지 9-1 모아이송 2는 기존의 모아이송보다 리듬이 어려워졌고, 모아이들은 밤까지 계속 수다를 떤다. 꽤나 난이도가 높다. 밤까지 모아이 송의 곡이 보너스 요소이다.

  • 스테이지 9-2 격투가 2는 노래가 길어졌으며 엇박이 자잘해졌다. 가라테가 2는 가라테가의 스테이지 6-4의 난이도 상승 버전이며, 템포가 약간 빨라지고, 3개 연속으로 화분이 날아오는 빈도가 높다. 보너스 요소는 "가라테가 비트: Rainy-비에 젖어-"이다.

  • 스테이지 9-3 코러스맨 2는 코러스맨의 노래가 더욱 복잡해졌으며, 플레이 시간이 길고, 화면이 어둡다. 코러스 맨 2는 스테이지 1-2의 난이도 상승 버전이며, 해변을 무대로 에코가 걸린 BGM으로 플레이한다. 보너스 요소는 "읽을 거리: 리더의 수기"이다.

  • 스테이지 9-4 스페이스 사커 2는 플레이 시간이 길어졌으며, 공의 비트 맞추기도 조금 어려워졌다. 리프팅 2는 스테이지 6-1의 난이도 상승 버전이며 웨스턴 어레인지 되어있다. 보너스 요소는 "읽을 거리: 공 차기 에세이"이다.

  • 스테이지 9-5 리믹스 9 경쾌한 박자의 리믹스 9. 주제는 스페이스 사커이다. 기존 게임과 쿵쿵 농장, 슈팅, 수중 발레, 부품조립이 나오며 스페이스 사커에 리듬을 익히면 리프팅맨도 그나마 나오지 않는다. 게임 중에 조언하는 대로, "리프팅"으로 전환되는 타이밍이 중요해지지만, 사실 "리프팅"이 들어가기 전에는 "모아이 송", "코러스 멘", "두둥실 농원" 3개뿐이며, 그 3개가 끝날 때 작게 목소리가 들리므로 들리면 다음은 반드시 "리프팅"이 된다. 등장 게임은 "모아이송", "코러스맨", "리프팅", "두둥실 농원", "슈팅", "가라테가", "싱크로", "조립"이며, 보너스 요소는 "읽을 거리: 조역 소개 2"이다.

스테이지 10

  • 스테이지 10-1은 슈팅 2이다. 기존의 슈팅보다 길어졌으며, 초반부터 빠른 비트로 시작한다. 중간부터는 아주 어려워진다. 스테이지 2-2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적의 출현 패턴이 복잡하게 변경된다. 여러 번 추락시키면 노 미스여도 평범한 판정이 된다.

  • 스테이지 10-2는 수중 발레 2이다. 수중 발레 1은 돌고래지만, 수중 발레 2는 물개다. 스테이지 5-1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재즈 편곡이 적용되었고, 패턴이 복잡하게 변경된다.

  • 스테이지 10-3은 수행자 2이다. 기존의 수행자보다 길어졌으며, 음악도 경쾌해졌다. 스테이지 4-1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기본적인 리듬은 변하지 않지만, 상당히 길어졌다.

  • 스테이지 10-4는 로커 2이다. 기존의 로커에 덧대어 음 올리기(R버튼,왼손잡이는 L버튼)가 생겼다. 합격 이상으로 깨면 메달 모음집에서 기타 테크니컬 레슨을 받을 수 있다. 스테이지 6-3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초킹(Choking)이라는 테크닉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게임에서만 R(L) 버튼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 스테이지 10-5는 리믹스 10이다. 리듬 세상의 모든 게임이 나온다. 한 게임당 5~10초, 24+1=25개의 게임이 나온다.(엔딩스테이지 포함) 이번 작품의 리믹스 중 가장 긴 리믹스이며 최종 스테이지인 이 게임에서는 모든 게임을 메들리 형식으로 진행한다.


플레이 순서는 다음과 같다.

가라테가→모아이 송→쿵쿵 농장→부품 조립→박스 쇼→사랑의 실험실→러브 콜→싱크로→

3. 1. 스테이지 목록



리듬을 타면서 부품을 조립한다. "도 레 미 파 솔"의 "솔"에서 기계를 튕겨 부품을 조립을 한다. 보통은 "도레미파솔"의 "솔" 타이밍에 맞춰 두드리지만, "솔라시도레", "라시도레미"처럼 다른 음계가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섯 번째 음에 맞춰야 한다. 또한, 도중에 부품 이외의 화면이 어두워져 소리만 듣고 맞춰야 한다.

3명으로 이루어진 코러스 그룹의 세 번째 멤버로 참가한다. 터치스크린을 누르면 입을 닫고, 떼면 노래를 부른다. 튕기면 크게 노래를 부른다. 플레이어는 세 번째 코러스 맨이 되어, 다른 두 명에 맞춰 합창한다. 화면을 터치하지 않는 한 계속 소리를 낸다. 도중에 "아, 다 함께"라는 소리가 들리면, 두드리는 동작이 필요하다. 또한, 앞의 두 명이 소리를 내고 있을 때는 일제히 입을 다물게 해야 한다. 지휘자 같은 리더는 전작에 등장한 "짝짝짝 삼인조"의 멤버이다.

로봇 공장의 마지막 공정인 연료 주입을 하는 일이다. 터치하면 연료를 주입하며, 적절한 시간에 떼면 연료 주입을 끝낼 수 있다. 4박자와 8박자를 잘 맞춰야한다.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흘러오는 로봇에게 에너지를 주입한다. 터치한 길이에 따라 주입량이 결정되며, 너무 많이 넣으면 폭발한다. 도중에 뒷박으로 주입하게 된다.

표준 사이즈의 "로봇 엠", 대형 사이즈의 "로봇 엘"의 두 종류가 있으며, 로봇 엘은 로봇 엠의 2배의 연료를 주입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다른 로봇이 자신보다 더 많은 연료를 주입받으면 질투하는 AI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몇 프레임의 오차도 없이 주입을 완료하면 기뻐하며 비행한다.

아이돌 가수의 팬인 원숭이가 되어, 일정한 패턴으로 박수를 치거나 함성을 지른다. 이 게임에 나온 노래는 실제 노래로 공연되기도 했다. 플레이어는 아이돌 팬인 원숭이가 되어, 아이돌의 노래에 맞춰 다른 팬들과 똑같은 동작(손뼉 치기, 점프)을 한다. 곡은 '''"두근! 이런 게 사랑이야?"'''. 노래하는 것은, 전 캐나아리 클럽의 에리~나/エリーナ일본어, 하시구치 에리나. 또한, 『리듬 세상 더 베스트 +』에서는, 백스테이지 외신다 1초메의 아리~사/アリーサ일본어, 하리오 아리사/針尾ありさ일본어가 노래하고 있다.

첫 번째 리믹스. 이번 작품의 리믹스는 전작보다 판정이 약간 더 엄격하다. 또한 이 리믹스만 어떤 어레인지인지 설명되지 않는다.

3. 1. 1. 스테이지 1



리듬을 타면서 부품을 조립한다. "도 레 미 파 솔"의 "솔"에서 기계를 튕겨 부품을 조립을 한다. 보통은 "도레미파솔"의 "솔" 타이밍에 맞춰 두드리지만, "솔라시도레", "라시도레미"처럼 다른 음계가 나오는 경우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다섯 번째 음에 맞춰야 한다. 또한, 도중에 부품 이외의 화면이 어두워져 소리만 듣고 맞춰야 한다.

3명으로 이루어진 코러스 그룹의 세 번째 멤버로 참가한다. 터치스크린을 누르면 입을 닫고, 떼면 노래를 부른다. 튕기면 크게 노래를 부른다. 플레이어는 세 번째 코러스 맨이 되어, 다른 두 명에 맞춰 합창한다. 화면을 터치하지 않는 한 계속 소리를 낸다. 도중에 "아, 다 함께"라는 소리가 들리면, 두드리는 동작이 필요하다. 또한, 앞의 두 명이 소리를 내고 있을 때는 일제히 입을 다물게 해야 한다 (닌텐도 3DS판에서는 닫는 타이밍도 지시되어 알기 쉬워졌다). 지휘자 같은 리더는 전작에 등장한 "짝짝짝 삼인조"의 멤버이다.

로봇 공장의 마지막 공정인 연료 주입을 하는 일이다. 터치하면 연료를 주입하며, 적절한 시간에 떼면 연료 주입을 끝낼 수 있다. 4박자와 8박자를 잘 맞춰야한다. 벨트 컨베이어를 따라 흘러오는 로봇에게 에너지를 주입한다. 터치한 길이에 따라 주입량이 결정되며, 너무 많이 넣으면 폭발한다. 도중에 뒷박으로 주입하게 된다.

표준 사이즈의 "로봇 엠", 대형 사이즈의 "로봇 엘"의 두 종류가 있으며, 로봇 엘은 로봇 엠의 2배의 연료를 주입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다른 로봇이 자신보다 더 많은 연료를 주입받으면 질투하는 AI를 가지고 있다. 또한, 몇 프레임의 오차도 없이 주입을 완료하면 기뻐하며 비행한다.

아이돌 가수의 팬인 원숭이가 되어, 일정한 패턴으로 박수를 치거나 함성을 지른다. 이 게임에 나온 노래는 실제 노래로 공연되기도 했다. 플레이어는 아이돌 팬인 원숭이가 되어, 아이돌의 노래에 맞춰 다른 팬들과 똑같은 동작(손뼉 치기, 점프)을 한다. 곡은 '''"두근! 이런 게 사랑이야?"'''. 노래하는 것은, 전 캐나아리 클럽의 에리~나/エリーナ일본어, 하시구치 에리나. 또한, 『리듬 세상 더 베스트 +』에서는, 백스테이지 외신다 1초메의 아리~사/アリーサ일본어, 하리오 아리사/針尾ありさ일본어가 노래하고 있다.

첫 번째 리믹스. 이번 작품의 리믹스는 전작보다 판정이 약간 더 엄격하다. 또한 이 리믹스만 어떤 어레인지인지 설명되지 않는다.

3. 1. 2. 스테이지 2

리듬 랠리는 곡에 맞춰 탁구를 한다. 신호가 오면 1 랠리 분량의 템포가 빨라진다. 리듬 천국 더 베스트 플러스에서는 "돌아온 핑퐁"으로 등장한다. 등장 캐릭터는 "핑퐁맨"이다. 덤 요소는 "핑퐁의 곡"이다. 전작의 등장 캐릭터 "스페이스 댄서즈"와 동일 인종임을 나타내는 내용이 게임 중에 기술되어 있다.

슈팅은 화면 위에서 나타나는 적을 나타나는 타이밍과 같은 타이밍에 격추시킨다. 리듬 천국 더 베스트 플러스에서는 "돌아온 슈팅"으로 등장한다. 등장 캐릭터는 "코스모 어태커즈"이다. 덤 요소는 "슈팅의 곡"이다. 오퍼레이터의 여자는 남자 친구를 구하고 있다고 한다.

블루 버즈는 플레이어는 세 번째 새가 되어 화면에 있는 대장의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등장 캐릭터는 "블루 버즈"이다. 덤 요소는 "읽을거리: 대원 일지"이다. 새들 사이에서도 동경의 대상이 되는 군대 같은 조직이다. 입대한 그들은 혹독한 훈련을 거듭하지만, 다리 강화만 하고 스스로 하늘을 나는 일은 없다는 것에 의문을 품는 대원들도 있는 듯하다.

모아이 송은 플레이어는 모아이 석상이 되어 상대의 구절을 흉내낸다. 등장 캐릭터는 "모아이코", "모아이오"이다. 덤 요소는 "읽을거리: 모아이어 강좌"이다. 상대의 구절을 흉내낸다는 것은 상대의 말에 동의하는 마음을 나타내는 것 같다. 조금이라도 틀리면 부정적인 대답을 한 것이 되어 관계에 금이 갈 수도 있다고 한다. 또 리듬을 타지 못하면, 흥겨운 갈매기에게 똥을 맞는다.

2nd 리믹스는 남국풍의 BGM에 맞춰 스테이지 2의 게임을 모아서 진행한다. 이번 작품 중 리믹스에서 가장 짧다. 등장 캐릭터는 "스테이지 2의 등장 캐릭터 전원"이다. 덤 요소는 "읽을거리: 프로필 1"이다.

3. 1. 3. 스테이지 3

3-1 〈사랑의 도마뱀〉은 문지르기를 사용한다. 레코레코도마뱀의 암컷이 되어 수컷의 구애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터치 스크린을 슬라이드하면 암컷의 혀로 박자를 맞출 수 있다. 판정이 까다로워 잘해도 수컷이 "에휴..."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 플레이어는 암컷 기로토카게 "기로짱"(노란색 도마뱀)이 되어 수컷(녹색 도마뱀)의 꼬리를 옆으로 흔드는 구애 행동에 맞춰 동시에 행동해야 한다. 터치한 채 터치 패널을 문질러 소리를 낸다(튕길 필요는 없다). 카니발 시기가 되면 번식기를 맞아 축제 분위기 속에서 짝을 짓는다는 가벼운 동물의 특징을 보인다.

3-2 〈쿵쿵 농장〉은 튕기기를 사용한다. 터치하여 땅을 울려 야채를 솟아오르게 한 다음, 튕겨서 야채를 광주리에 담는다. 가끔 등장하는 두더지는 반 박자 빨리 튕겨서 제거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농부가 되어 밭에 묻힌 채소나 두더지를 뽑아낸다. 두더지는 약간 튕기는 타이밍이 빠르다. 묻혀 있는 채소는 전작에 등장했던 "헤어 베지터보즈"이다.

3-3 〈카메라맨〉은 터치를 사용한다. 자동차 경주장에서 자동차를 촬영하는 카메라맨으로 활동하며, 자동차가 지나가는 리듬에 맞추어 터치하여 사진을 찍는다. 노란색 차는 3개가 나타나면 연속 3번 터치하고, 2개가 나타나면 반 박자 느리게 연속 2번 터치해야 한다. 당근 차는 빠른 속도이므로 주의해야 한다. 사진에 차를 타고 있는 레이서가 카메라맨을 보고 "브이"를 표현할 때도 있다. 가끔 카메라에 찍히는 것은 "닌자", "살금살금 랫", "하얀 유령", "랩맨", "DJ SALU", "원숭이", "파치파치 삼인방"으로 전작에 등장했던 캐릭터가 다수 등장한다.

3-4 〈샤랄라 6공주〉는 튕기기를 사용한다. 화면은 6개의 박스로 구성되며, 각 박스에 멤버가 한 명씩 들어가고, 플레이어가 조작하는 것은 오른쪽 맨 아래쪽에 위치한 멤버이다. 터치하면 웅크리는 자세를 취하며, 튕기면 다른 자세를 취한다. 다른 멤버들의 리듬에 맞추어 안무를 소화해야 한다. 플레이어가 미스를 하면 다른 멤버들에게 눈총을 받는다. 어중간한 타이밍에 일어나면 멤버들이 넘어지고 부끄러워한다. 이 스테이지를 퍼펙트하면 샤랄라 6공주 노래를 받을 수 있다. 노래하는 곡은 THE 폿시보가 부르는 '''"사랑의 RungRung 파라다이스"'''이다. 게임 속 캐릭터의 모델은 본인이 아닌 것으로 보인다 (단, "더 베스트 +"에서는 THE 폿시보 멤버가 모델로 되어 있다).

3-5 〈리믹스 3〉은 스테이지 3에 등장했던 게임이 등장한다. 일본 트로트풍이다. 엔카풍 블루스에 맞춰 스테이지 3의 게임을 모아서 진행한다. 리믹스 10 다음으로 긴 리믹스.

3. 1. 4. 스테이지 4

4-1 〈수행자〉[34]

찐빵을 먹는 수행을 한다. 리듬에 맞추어 터치하면 찐빵을 먹는다. "하나"라고 하면, "나"에만 터치를 한다. "이얼싼쓰" 라고 하면, "얼싼쓰" 에만 터치를 한다. "둘 고고!" 라고 하면 "고고!" 에서만 터치를 한다. 상대의 구령에 맞춰 만두를 먹는다. "이, 아, 싼, 쑤"의 구령일 때는 3개 연속으로 먹고, "요요토토"의 구령은 "토토"에 맞춰 2개 연속으로 먹는다. 타이밍에 맞춰 먹으면 수염이 난다.

4-2 〈DJ 스쿨〉[34]

리듬에 맞추어 패드를 스크랏 쵸한다. 터치하면 자세를 취하며, 그 상태에서 튕기면 스크랏 쵸한다. 맨 처음에 "브리킹 컴온 우!"하면 "우!"에 자세를 취한다. 옐로가 "스크랏 쵸!"하면 한 박자 쉬고 튕긴다. 플레이어는 학생(파랑)이 되어, 선생님(노랑)의 지시에 따라 스크래치를 한다.

4-3 〈응원단〉[34]

북을 두드린다. 상대편이 먼저 북을 두드리면 그 리듬의 패턴과 동일하게 두드린다. 마지막 부근에 빠른 속도를 주의해야 한다. 플레이어는 파란 팀의 응원단이 되어, 빨간 팀의 북과 같은 구절을 두드린다. 후반에는 얼굴이 빨개지며 속도가 빨라진다.

4-4 〈두근두근 실험실〉[34]

음악에 맞추어 하트를 만드는 실험을 한다. 선배가 주는 통을 터치하여 선배와 같은 하트 개수대로 슬라이드를 해야한다. 그리고 튕기기를 해 옆에 있는 다람쥐에게 준다. 플레이어는 가운데의 여성 연구원이 되어, 옆의 남성 연구원으로부터 던져진 플라스크를 흔들거나 옆으로 던진다.

4-5 〈리믹스 4〉[34]

스테이지 4에 등장했던 게임이 등장한다. 주제는 사랑. 팝 음악풍의 BGM에 맞춰 스테이지 4의 게임을 묶어 진행한다.

3. 1. 5. 스테이지 5

〈수중 발레〉는 터치하면 잠수하며, 떼면 물 밖으로 나온다. 튕기면 돌고래를 타고 점프한다. 동료의 리듬에 잘 맞추어 플레이한다.

〈미니 라이브〉는 유령들이 라이브 콘서트를 한다. 튕기고 붙잡는 동작으로 기타를 연주하는데, 동료의 리듬과 같은 리듬으로 연주한다. 같은 패턴을 8번 연주하게 되는데, 각 패턴마다 연주해야 하는 속도가 다르다.(처음과 마지막은 고정되어 있다)

〈견공 닌자〉는 리듬에 맞추어 날아오는 야채 등을 자른다.

〈개굴개굴 댄스〉는 개구리들이 펼치는 무대이다. 앞에 위치한 여성 리더가 하는 동작을 잘 보거나 소리를 듣고 따라한다.

〈리믹스 5〉는 스테이지 5에 등장했던 게임이 등장한다. 주제는 공연이다.

  • 스테이지 5-1 "싱크로"에서는 플레이어는 세 번째 소녀가 되어 다른 두 명과 같은 타이밍에 물에 잠수하거나 점프한다. 등장 캐릭터는 "싱크로 삼자매" 이다. 참고로, 리믹스 5, 리믹스 9에서는 삼형제가 된다.
  • 스테이지 5-2 "숏 라이브"에서는 플레이어는 하얀 유령이 되어, 녹색 유령과 함께 엔딩 구절의 기타를 연주한다. 템포가 다른 곡이 총 8곡 (약 1분 반) 있다. 첫 곡과 마지막 곡은 항상 같지만, 그 외 곡의 순서는 랜덤이다. 등장 캐릭터는 "스몰 고스터즈"이다. 참고로, 라이브는 A 씨의 집 테이블 위를 마음대로 점거하고 있다고 한다. 덧붙여서 티켓은 예매도 당일도 3800엔이다.
  • 스테이지 5-3 "개 닌자"에서는 날아오는 채소를 타이밍 좋게 자른다. 때때로 타이어나 프라이팬이 날아오는 경우가 있지만, 상관없이 잘라야 한다. 등장 캐릭터는 "개 닌자"이다.
  • 스테이지 5-4 "케로케로 댄스"에서는 플레이어는 백댄서 개구리가 되어, 빨간 개구리의 지시에 맞춰 다양한 동작을 한다. 또한, 지시가 없을 때는 항상 박자에 맞춰야 한다. 등장 캐릭터는 "케로케로 합창단"이다. 보컬의 파란 개구리는 게임을 처음 시작했을 때 인트로덕션 화면에서 처음 등장한다. 부르고 있는 곡은 웃치야마(층쿠♂)가 부르는 '''"밝은 로큰롤"'''이다.
  • 스테이지 5 리믹스 "5th 리믹스"는 록적인 BGM에 맞춰 스테이지 5의 게임을 모아서 진행한다. 등장 캐릭터는 "스테이지 5의 등장 캐릭터 전원 (단, 싱크로 삼자매가 삼형제가 된다)"

3. 1. 6. 스테이지 6

6-1 〈스페이스 사커〉

우주에서 축구공으로 리프팅을 한다. 튕기면 발로 강하게 리프팅한다.

6-2 〈그림자 스텝〉

박자에 맞추어 터치한다. 구호에 맞춰 정박과 엇박을 바꾼다.

6-3 〈로커〉

로커 선생님과 함께 기타를 연주한다. 튕기면 연주하며, 다시 터치하면 뮤트한다. 합격 이상으로 깨면 메달 모음집에서 기타 베이직 레슨을 받을 수 있다.

6-4 〈격투가〉

리듬에 맞추어 날아오는 물건을 주먹으로 부순다. 전구가 나온 다음에 나오는 나무통은 터치하여 부수면 폭탄이 나오는데, 튕기면 킥을 하여 날려 보낸다.

6-5 〈리믹스 6〉

스테이지 6에 등장하였던 게임이 등장한다. 주제는 우주.

  • 스테이지 6-1 「리프팅」

플레이어는 가장 앞에 있는 캐릭터가 되어 리프팅을 계속한다. 가끔 하이킥을 할 때가 있다.

  • * 등장 캐릭터 「리프팅맨」
  • * 보너스 요소 「리프팅의 곡」

리프팅맨은 하나의 팀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러 리프팅맨이 존재한다.

  • 스테이지 6-2 「앞뒷면」★

보통 박자와 뒷 박자를 번갈아 가며 춤을 춘다. 처음에는 앞 박자지만 「하-이」라는 신호로 뒷 박자가 되고, 「음・하, 음・하」라는 구령으로 앞 박자로 돌아간다.

  • * 등장 캐릭터 「앞뒷면 사람」
  • * 보너스 요소 「앞뒷면의 곡」

멀리서 보면, 바로크 시대의 음악가 같은 모자이크 아트가 나타난다.

  • 스테이지 6-3 「로커」

플레이어는 로커의 제자가 되어, 로커의 연주에 맞추거나 동시에 연주한다.

  • * 등장 캐릭터 「로커」
  • * 보너스 요소 「로커의 곡」

기타 레슨에서도 그들이 등장한다.

  • 스테이지 6-4 「가라테가」☆

전작의 가라테가와 같지만, 새롭게 발차기 동작이 추가되었다. 전구 뒤에 통이 날아오므로, 「펀치 킥」의 「파」에서 통을 부수고 「키」에서 폭탄을 걷어차야 하지만, 전구 없이 통이 날아오는 경우도 있다.

리듬 세상 더 베스트 플러스』에서는, 「가라테가 킥」으로 등장하고 있다.

  • * 등장 캐릭터 「가라테가」
  • * 보너스 요소 「가라테가의 노래: Rainy ~비에 젖어~」

곡은 캐나아리 클럽이 부르는 '''「Rainy ~비에 젖어~」'''。

또한, 처음 펀치 킥의 폭탄을 놓치면 「평범」 확정. 그리고, 마지막 화분을 놓치면, 여지없이 「다시 하기」가 된다.

  • 스테이지 6 리믹스 「6th 리믹스」

우주풍의 BGM에 맞춰 스테이지 6의 게임을 묶어서 진행한다. 「리프팅」에서 「앞뒷면」으로의 전환이 어렵다.

  • * 등장 캐릭터 「스테이지 6의 등장 캐릭터 전부」
  • * 보너스 요소 「읽을 거리: 가사 카드 4」

이 게임을 클리어하면, 스태프 롤과, 캐스트 소개가 나온다.

3. 1. 7. 스테이지 7

7-1 〈부품 조립 2〉는 '도 레 미 파 솔'의 '솔'에서 튕기는 것은 부품 조립과 같지만, 그 후에 빠른 속도로 '도레미파솔' 소리가 들린다. 부품도 빠르게 온다.[35] 스테이지 1-1의 난이도 상승판으로, 기존의 부품에 더해 고속으로 흘러오는 부품이 있다. 또한, 통상적인 리듬과는 다른 리듬으로 흘러오는 부품도 있으며, 2개의 부품을 제거하는 것만으로도 판정이 "다시"가 될 수 있다.

7-2 〈샤랄라 6공주 2〉는 상자 밑에 꽃이 있고 별 대신 양이 나온다. 전작"리듬 천국"의 "나이트 워크"에 나오는 "플레이얀 군"이라는 캐릭터도 나온다. 스테이지 3-4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요들풍의 어레인지가 더해져 댄스 패턴이 더욱 늘어났다.

7-3 〈개굴개굴 댄스 2〉는 개굴개굴 합창단이 모자를 쓰고 춤을 춘다. 보컬이 색소폰을 분다. 스테이지 5-4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인스트 어레인지되어 약간 템포가 빨라졌다. 『리듬 세상 더 베스트 +』에서는 "개굴개굴 나이트"로 등장한다.

7-4 〈팬클럽 2〉는 무대가 바뀌고 스타가 된 아이돌이 노래를 부르는데 박수를 친다. 새로운 패턴이 나오고 게임 시간이 실제 아이돌이 노래를 불렀던 시간이랑 똑같다. 여기 나오는 원숭이는 전작"리듬 천국"의"쇼 타임"에 나오는 망치로 스프링을 쳐서 펭귄들에게 공을 던져 주었던 원숭이이다. 스테이지 1-4의 난이도 상승판으로, 추임새가 3종류로 늘어나고, 곡은 2절까지 부르게 된다. 곡이 종료된 후, 원숭이들이 리듬과 상관없이 박수를 치는 장면이 있는데, 이때 박수를 치지 않거나, 다른 원숭이보다 먼저 박수를 치면 옆의 원숭이에게 노려지게 된다.

7-5 〈리믹스 7〉은 시원한 구름과 함께 다른 것도 나오는 "미니 라이브"의 처음 곡의 원곡을 들으며 리믹스를 즐길 수 있다. 기존 게임과 DJ스쿨, 미니 라이브가 나온다. BGM은 "숏 라이브"의 첫 번째 곡 롱 버전. 여기부터 리믹스에 나오는 게임이 뒤섞이지만, '''해당 스테이지에 나왔던 게임은 반드시 한 번은 등장한다''' (단, 스테이지 7에서는 유일하게 "조립"은 여기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3. 1. 8. 스테이지 8

8-1 리듬 랠리 2

기존의 리듬 랠리보다 플레이 시간이 길며, 시점이 계속 바뀌기 때문에 헷갈리고, 속도도 빠르며, 연속으로 빠른 비트가 나오기도 한다.

8-2 로봇 공장 2

기존의 로봇 공장보다 플레이 시간이 길며, 배경 음악의 방해가 더욱 어려워졌고, 반박자 로봇이 나온다. 정전이 되어 불이 꺼져서 멜로디와 로봇의 눈만 보면서 해야 할 때도 있다.

8-3 블루버드 특공대 2

기존보다 시간이 길며, 터치 비트와 튕기는 비트가 겹쳐 연속 비트를 이루기도 한다. 혹독한 블루버드 특공대의 겨울 훈련 이야기를 들려준다.

8-4 그림자 스텝 2

박자가 약간 느려지고 엇박자의 리듬이 바뀌었다. 색이 바뀌었고 그림의 아저씨도 머리에 별이 박혀있다.

8-5 리믹스 8

리믹스 8의 대표적인 게임은 리듬 랠리 2이며, 견공닌자, 응원단, 카메라맨, 수행자, 블루버드 특공대, 그림자 스텝이 섞였다. 주제는 번개로, 리듬세상 게임 중에 가장 빠르다고 느낄 만한 스테이지이다.

3. 1. 9. 스테이지 9



모아이송 2는 기존의 모아이송보다 리듬이 어려워졌고, 모아이들은 밤까지 계속 수다를 떤다. 꽤나 난이도가 높다. 밤까지 모아이 송의 곡이 보너스 요소이다.

격투가 2는 노래가 길어졌으며 엇박이 자잘해졌다. 가라테가 2는 가라테가의 스테이지 6-4의 난이도 상승 버전이며, 템포가 약간 빨라지고, 3개 연속으로 화분이 날아오는 빈도가 높다. 보너스 요소는 "가라테가 비트: Rainy-비에 젖어-"이다.

코러스맨 2는 코러스맨의 노래가 더욱 복잡해졌으며, 플레이 시간이 길고, 화면이 어둡다. 코러스 맨 2는 스테이지 1-2의 난이도 상승 버전이며, 해변을 무대로 에코가 걸린 BGM으로 플레이한다. 보너스 요소는 "읽을 거리: 리더의 수기"이다.

스페이스 사커 2는 플레이 시간이 길어졌으며, 공의 비트 맞추기도 조금 어려워졌다. 리프팅 2는 스테이지 6-1의 난이도 상승 버전이며 웨스턴 어레인지 되어있다. 보너스 요소는 "읽을 거리: 공 차기 에세이"이다.

경쾌한 박자의 리믹스 9. 주제는 스페이스 사커이다. 기존 게임과 쿵쿵 농장, 슈팅, 수중 발레, 부품조립이 나오며 스페이스 사커에 리듬을 익히면 리프팅맨도 그나마 나오지 않는다. 게임 중에 조언하는 대로, "리프팅"으로 전환되는 타이밍이 중요해지지만, 사실 "리프팅"이 들어가기 전에는 "모아이 송", "코러스 멘", "두둥실 농원" 3개뿐이며, 그 3개가 끝날 때 작게 목소리가 들리므로 들리면 다음은 반드시 "리프팅"이 된다. 등장 게임은 "모아이송", "코러스맨", "리프팅", "두둥실 농원", "슈팅", "가라테가", "싱크로", "조립"이며, 보너스 요소는 "읽을 거리: 조역 소개 2"이다.

3. 1. 10. 스테이지 10

10-1은 슈팅 2이다. 기존의 슈팅보다 길어졌으며, 초반부터 빠른 비트로 시작한다. 중간부터는 아주 어려워진다. 스테이지 2-2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적의 출현 패턴이 복잡하게 변경된다. 여러 번 추락시키면 노 미스여도 평범한 판정이 된다.

10-2는 수중 발레 2이다. 수중 발레 1은 돌고래지만, 수중 발레 2는 물개다. 스테이지 5-1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재즈 편곡이 적용되었고, 패턴이 복잡하게 변경된다.

10-3은 수행자 2이다. 기존의 수행자보다 길어졌으며, 음악도 경쾌해졌다. 스테이지 4-1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기본적인 리듬은 변하지 않지만, 상당히 길어졌다.

10-4는 로커 2이다. 기존의 로커에 덧대어 음 올리기(R버튼,왼손잡이는 L버튼)가 생겼다. 합격 이상으로 깨면 메달 모음집에서 기타 테크니컬 레슨을 받을 수 있다. 스테이지 6-3의 난이도 상승판이며 초킹(Choking)이라는 테크닉을 사용하기 때문에, 이 게임에서만 R(L) 버튼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10-5는 리믹스 10이다. 리듬 세상의 모든 게임이 나온다. 한 게임당 5~10초, 24+1=25개의 게임이 나온다.(엔딩스테이지 포함) 이번 작품의 리믹스 중 가장 긴 리믹스이며 최종 스테이지인 이 게임에서는 모든 게임을 메들리 형식으로 진행한다.

플레이 순서는 다음과 같다.

가라테가→모아이 송→덩굴 농장→조립→박스 쇼→사랑의 실험실→러브 콜→싱크로→탁구로커→블루 버즈→리프팅→슈팅→앞뒤→아이돌→에어 보더→코러스맨→로봇 공장→수행응원단→개굴개굴 댄스→숏 라이브→카메라맨→DJ 스쿨→견닌자→가라테가

슈팅 도중에 앞뒤 사람이 나오는 경우가 있지만, 쏘지 않고 앞뒤로 넘어간다. 앞뒤에서 아이돌로 넘어가 미스 터치를 해도 퍼펙트 실패가 되지 않는다.

3. 2. 엔딩 게임

에어 보더는 준비 기합을 넣으면 박자에 맞춰 터치하고, 점프대가 있으면 터널을 지날 때 터치를 유지하다 튕기면 된다. 카메라의 위치가 노래에 따라 수시로 바뀐다. 라이브 콘테스트는 메달 모음집에서 기타 레슨을 A랭크 이상 받으면 참가가 가능하다. 베이직 레슨을 모두 A 이상으로 받을 경우 베이직으로, 테크니컬 레슨을 모두 A 이상으로 받을 경우 테크니컬로 참가할 수 있다. 나오는 음악은 베이직 레슨과 테크니컬 레슨에 나오는 모든 음악으로, 로커와 같은 방식으로 다른 참가자와의 순위가 있는 작은 콘서트를 한다.

4. 등장 음악

층쿠♂와 요네 마사미가 작곡한 오리지널 음악을 사용하며, TNX 소속 아티스트, Canary Club, The Possible 및 층쿠♂ 본인(Occhama[2]로 표기)이 보컬을 맡았다.[36] 이 보컬들은 서양 버전에서는 다른 보컬리스트들(특히 층쿠♂가 프로듀싱한 코코넛 무스메의 전 멤버인 나가테 아야카)에 의해 영어로 다시 녹음되었으며, 일부 음성 신호도 마찬가지였다. 일본 노래를 음악 플레이어 섹션에 포함할 계획이 있었지만, 공간 제약으로 인해 곧 제외되었다. 게임의 사운드트랙 앨범은 일본에서는 발매되었지만, 북미에서는 발매되지 않았다.

유럽 버전은 스페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완전히 번역되었으며, ''팬클럽'', ''The Dazzles'', ''개구리 점프'', ''가라테 맨'', ''에어 보더'' 리듬 게임의 보컬곡을 포함한다.

전작에 이어, 샤란Q의 층쿠♂가 프로듀스 및 악곡을 제공했다. 리듬 게임에는 층쿠♂ 프로듀스 유닛인 캐나알리 클럽, THE 포시보가 부른 오리지널 악곡도 수록되어 있다. 일부 리듬 게임과 시스템 부분의 BGM은 닌텐도의 코메 마사미가 작곡을 담당했다.


  • '''이게 바로 사랑일까''': 팬클럽 1편과 2편에서 나오는 노래이다.[36]
  • '''사랑의 Go Go 파라다이스''': 샤랄라 6공주 1편과 2편에서 나오는 노래이다.
  • '''젊은 날의 로큰롤''': 개굴개굴 댄스에 나오는 노래이다.
  • '''내리는 비를 맞으며''': 격투가 1편과 2편에서 나오는 노래이다.
  • '''That's paradise''': 에어 보더에 나오는 노래이다.

4. 1. 대표곡

층쿠♂와 요네 마사미가 작곡한 오리지널 음악을 사용하며, TNX 소속 아티스트, Canary Club, The Possible 및 층쿠♂ 본인(Occhama[2]로 표기)이 보컬을 맡았다.[36] 이 보컬들은 서양 버전에서는 다른 보컬리스트들에 의해 영어로 다시 녹음되었다. 게임의 사운드트랙 앨범은 일본에서는 발매되었지만, 북미에서는 발매되지 않았다. 유럽 버전은 스페인어,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이탈리아어로 완전히 번역되었다.

  • '''이게 바로 사랑일까''': 팬클럽 1편과 2편에서 나오는 노래이다.
  • '''사랑의 Go Go 파라다이스''': 샤랄라 6공주 1편과 2편에서 나오는 노래이다.
  • '''젊은 날의 로큰롤''': 개굴개굴 댄스에 나오는 노래이다.
  • '''내리는 비를 맞으며''': 격투가 1편과 2편에서 나오는 노래이다.
  • '''That's paradise''': 에어 보더에 나오는 노래이다.


전작에 이어, 샤란Q의 층쿠♂가 프로듀스 및 악곡을 제공했다. 리듬 게임에는 층쿠♂ 프로듀스 유닛인 캐나알리 클럽, THE 포시보가 부른 오리지널 악곡도 수록되어 있다. 일부 리듬 게임과 시스템 부분의 BGM은 닌텐도의 코메 마사미가 작곡을 담당했다.

5. 개발

닌텐도 SP&D1에서 층쿠의 도움을 받아 개발되었으며, 층쿠는 오리지널 ''리듬 천국''에도 참여했다.[3][4] 게임 기획은 닌텐도 프로그래머 오사와 카즈요시의 공으로, 그는 ''메트로이드''와 ''두뇌 트레이닝'' 타이틀에서도 작업했다.[3][4]

게임 개발 과정은 순탄치 않았다. 오사와는 버튼 사용을 지양하고 터치 스크린을 활용하는 조작 방식을 고려했다. 터치 스크린 가장자리를 터치하는 방식도 고려했으나 난이도가 높다고 판단했다.

'튕기기' 조작은 개발진에게 어려운 과제였는데, 음악과 결합했을 때 플레이어에게 "좋은 타이밍 감각"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깨닫기 전까지는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 튕기기 조작 연구에 약 2~3개월, 게임에 적용하는 데 6개월이 걸렸다. 층쿠는 튕기기 조작에 대한 아이디어를 매우 좋아했으며, ''개구리 도약'' 아이디어를 떠올리는 계기가 되었다. ''개구리 도약''은 ''리듬 세상''을 위해 만들어진 첫 번째 게임 중 하나가 되었다. 다른 많은 게임과 마찬가지로, 이 게임(및 후속작)이 전 세계적으로 출시될 때 지역마다 다양한 차이점이 존재한다.

샤란Q의 층쿠♂가 전작에 이어 프로듀스와 악곡을 제공했다. 리듬 게임에는 층쿠♂ 프로듀스 유닛인 캐나알리 클럽, THE 포시보가 부른 오리지널 악곡도 수록되어 있다. 일부 리듬 게임과 시스템 부분의 BGM은 닌텐도의 코메 마사미가 작곡을 담당했다.

6. 평가

리듬 세상은 메타크리틱에서 83/100점을 받는 등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37][5] 와이어드는 이 게임을 "참신하고, 심오하며, 도전적인 종류의 게임"이라고 평가했다.[53][22] 패미통은 40점 만점에 34점을 부여했다.[42][11] 1UP.com은 B+ 등급을 부여하며, 전작인 리듬 천국을 능가하지 못한다는 점을 지적했다.[6]

데일리 텔레그래프는 10점 만점에 8점을 주면서, 터치 조작이 게임을 훌륭하게 만들지만, 엘리트 비트 에이전트만큼 정교하지는 않다고 평가했다.[21] A.V. 클럽은 B 등급을 부여하며 "시중에서 가장 귀여운 드럼 머신"이라고 평가했다.[23]

리듬 세상은 2014년 12월 기준으로 전 세계적으로 304만 장 이상 판매되었다.[24] 2008년 일본에서 6번째로 많이 팔린 게임으로 기록되었으며,[25] 2009년 1월에는 파라파 더 래퍼를 제치고 음악 게임 역대 1위의 판매량을 기록했다.[30]

7. 한국판 특징 및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

8. 후속작

닌텐도의 사장 이와타 사토루는 사람들이 거실에서 리듬 게임을 즐기는 것에 주목하여, 2011년 후속작인 리듬 세상 Wii를 발매했다. 그는 "다른 사람이 게임을 플레이하는 것을 보면, 박자를 완벽하게 맞추지 못하는 것을 보면서도 의외로 재미를 느낄 수 있다"라고 언급했다.[26]

2015년에는 닌텐도 3DS리듬 세상 메가 믹스가 출시되었다. 이 게임은 DS 버전, 리듬 세상 Wii의 게임들과 새로운 게임들을 포함하고 있다.

''리듬 세상''은 ''모여라! 와리오Ware''와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시리즈에서도 자주 언급된다.

2010년 4월, THQ는 ''리듬 세상''과 유사한 조작 방식을 가진 ''비트 시티''라는 게임을 출시했다.

9. 기타

리듬 세상은 모여라! 메이드 인 와리오와 대난투 스매시 브라더스 시리즈에서도 자주 언급된다.[26] 2010년 4월, THQ는 리듬 세상과 유사한 조작 방식을 가진 비트 시티라는 게임을 출시했다.

참조

[1] 잡지 "''Rhythm Paradise'' Comes To DS In May" https://web.archive.[...] 2009-03-16
[2] 웹사이트 つんく♂『おっちゃまの正体は!? (スタッフからのコメント)』 http://ameblo.jp/tsu[...] 2010-03-07
[3] 웹사이트 Iwata Asks - ''Rhythm Heaven'' https://web.archive.[...] Nintendo 2016-08-18
[4] 웹사이트 Kazuyoshi Osawa Video Game Credits and Biography http://www.mobygames[...] MobyGames 2009-07-30
[5] 웹사이트 "''Rhythm Heaven'' for DS Reviews" https://www.metacrit[...] 2023-11-01
[6] 웹사이트 Rhythm Heaven Review http://www.1up.com/r[...] 1Up.com 2009-04-05
[7] 웹사이트 "Destructoid Import Review: ''Rhythm Tengoku'' Gold" https://web.archive.[...] 2016-08-19
[8] 웹사이트 "Destructoid review: ''Rhythm Heaven''" https://web.archive.[...] 2016-08-19
[9] 웹사이트 "''Rhythm Tengoku'' Gold" http://www.eurogamer[...] 2015-01-14
[10] 웹사이트 "''Rhythm Paradise''" http://www.eurogamer[...] 2016-08-18
[11] 잡지 Famitsu Review Scores http://purenintendo.[...] 2016-08-18
[12] 잡지 "''Rhythm Heaven'': Unique Twist on Rhythm/Music Genre" https://web.archive.[...] 2016-08-18
[13] 잡지 "''Rhythm Heaven''" https://web.archive.[...] 2016-08-19
[14] 웹사이트 "''Rhythm Heaven'' Review"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16-08-19
[15] 웹사이트 "''Rhythm Heaven'' Review" http://www.gamespot.[...] 2015-01-14
[16] 웹사이트 "GameSpy: ''Rhythm Heaven''" http://ds.gamespy.co[...] GameSpy 2016-08-19
[17] 웹사이트 "''Rhythm Heaven'' Review" https://web.archive.[...] GameTrailers 2016-08-18
[18] 웹사이트 "''Rhythm Heaven'' Review" http://www.giantbomb[...] Giant Bomb 2016-08-19
[19] 웹사이트 "''Rhythm Heaven'' Review" http://www.ign.com/a[...] 2016-08-18
[20] 잡지 Rhythm Heaven 2009-05-00
[21] 뉴스 "''Rhythm Paradise'' review" https://www.telegrap[...] 2016-08-18
[22] 잡지 "Review: ''Rhythm Heaven'' Is Portable Music Brilliance" https://www.wired.co[...] 2016-08-19
[23] 뉴스 "''Rhythm Heaven''" http://www.avclub.co[...] 2016-08-18
[24] 웹사이트 Rhythm Heaven for Nintendo DS https://www.vgchartz[...] 2023-06-16
[25] 잡지 JAPANESE 2008 MARKET REPORT http://www.mcvuk.com[...] 2016-08-18
[26] 웹사이트 "Nintendo Reveals Traditional ''Kirby'' Game, ''Rhythm Heaven'' In Works For Wii" http://www.gamasutra[...] 2011-01-28
[27]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컴퓨터엔터テインメント協会
[28] 서적 2023 CESAゲーム白書 컴퓨터엔터テインメント協会
[29] 문서
[30] 웹사이트 止まらない「リズム天国ゴールド」、12年ぶりに音ゲー売上最高記録を塗り替える http://plusd.itmedia[...]
[31] 잡지인용 "''Rhythm Paradise'' Comes To DS In May" http://www.officialn[...] 2009-03-16
[32] 뉴스 닌텐도 DS® 전용 소프트웨어 리듬 세상 발매 http://www.newsprime[...] 프라임경제 2009-09-21
[33] 문서
[34] 문서
[35] 문서
[36] 문서 이 노래로 공연을 한 영상도 있다.
[37] 웹인용 Rhythm Heaven for DS Reviews http://www.metacriti[...]
[38] 웹인용 Destructoid Import Review: Rhythm Tengoku Gold https://www.destruct[...] 2016-08-19
[39] 웹인용 Destructoid review: Rhythm Heaven https://www.destruct[...] 2016-08-19
[40] 웹인용 Rhythm Tengoku Gold http://www.eurogamer[...] 2008-08-27
[41] 웹인용 Rhythm Paradise http://www.eurogamer[...] 2016-08-18
[42] 잡지 Famitsu Review Scores http://purenintendo.[...] 2016-08-18
[43] 저널 Rhythm Heaven: Unique Twist on Rhythm/Music Genre http://www.gameinfor[...] 2016-08-18
[44] 잡지 Rhythm Heaven http://www.gamepro.c[...] 2016-08-19
[45] 웹인용 Rhythm Heaven Review http://www.gamerevol[...] Game Revolution 2016-08-19
[46] 웹인용 Rhythm Heaven Review http://www.gamespot.[...] 2009-04-01
[47] 웹인용 GameSpy: Rhythm Heaven http://ds.gamespy.co[...] GameSpy 2016-08-19
[48] 웹인용 Rhythm Heaven Review http://www.gametrail[...] 게임트레일러스 2016-08-18
[49] 웹인용 Rhythm Heaven Review http://www.giantbomb[...] Giant Bomb 2016-08-19
[50] 웹인용 Rhythm Heaven Review http://www.ign.com/a[...] 2016-08-18
[51] 저널 Rhythm Heaven 2009-05
[52] 뉴스 Rhythm Paradise review https://www.telegrap[...] 2016-08-18
[53] 잡지 Review: Rhythm Heaven Is Portable Music Brilliance https://www.wired.co[...] 2016-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